본문 바로가기
반려견과 함께하는 삶

강아지 결석의 종류와 증상, 치료, 예방

by _달구누나_ 2023. 11. 9.

강아지 결석

결석은 몸에서 발생하는 단단한 고체상태의 물질로, 모든 동물에게 생길 수 있습니다. 결석질환이 있는 강아지들은 소변을 찔끔찔끔 흘리거나, 소변을 잘 보지 못하고 통증을 느끼는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결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식단이며, 물을 충분히 마시지 않거나 특정 미네랄을 과다하게 섭취하게 만드는 식단은 결석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식단 이외에도 유전적인 요인, 특정 질환, 약물 부작용 등이 결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결석을 이루고 있는 주요 성분은 인산칼슘과 수산칼슘입니다. 결석이 생겼을 경우 성분검사를 통해 정확한 성분을 확인하고, 그에 맞는 식이조절과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결석의 종류와 증상

결석이 방광에 생겼을 경우 '방광결석', 신장에 결석이 생길 경우 '신장결석', 소변으로 인해 결석이 요로에 쌓일 경우 '요로결석'이라고 합니다. 요로결석은 강아지가 소변을 볼 때 통증을 느끼며, 요도가 외부와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신장결석은 요로결석과 방광결석에 비해 발생빈도는 낮은 편이지만 생명을 위험하게 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암컷 강아지에게 잘 생기며, 극심한 통증을 느끼게 하는 요관결석과 만성 신부전을 함께 유발할 수 있어서 발견직후 바로 치료해야 합니다. 방광결석은 일반적으로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가끔 옆구리에 심한 통증이 있거나 수신증, 혈뇨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치료

강아지 결석질환은 초음파검사, X-ray촬영, 혈액 검사, 소변 검사 등을 이용해 진단받을 수 있습니다. 치료는 결석의 크기와 개수, 성분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지며 약물치료, 식이요법, 개복수술 등을 통해 치료합니다. 보통 결석의 개수보다는 크기에 따라 수술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크기가 요도를 통해 나오기 어려울 경우 개복 수술을 통해 제거해야 합니다. 수술은 수면마취를 통해 진행되며 강아지의 배부분을 절개하여 결석을 꺼낸 후 다시 봉합하는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수술이 끝난 후에도 수술부위가 잘 아물도록 관리해주어야 하며, 필요시 입원도 할 수 있습니다. 1-2주 후 실밥을 제거하러 병원에 한 번 더 내원해야 합니다. 결석의 크기가 작다면 약물과 식이조절관리를 통해 결석의 생성을 어제 하며, 결석이 약물로 녹아 소변으로 나오게 하는 치료를 시작합니다. 수술에 비해 비교적 부담이 적은 치료법이지만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예방

강아지 결석질환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보호자가 균형 잡힌 식단을 주고, 충분한 수분섭취를 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반려견이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도 결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동물병원에서 정기적인 검진과 X-ray촬영을 통해 결석을 초기에 발견하고 조기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결석이 잘 생기는 견종을 키우는 경우에는 좀 더 신경 써서 관리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슈나우저, 페키니즈, 코카스파니엘, 퍼그, 푸들, 비숑프리제, 웰시코기, 시츄 등이 유전적 영향을 받아 결석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해당 견종을 키우고 있다면 결석 관리에 신경 써야 합니다.

결론

결석은 치료 치료를 받았다고 해도, 치료 이후에 관리를 소홀히 한다면 재발할 수 있습니다. 결석이 잘 생기는 강아지들은 사료를 결석전용 사료로 바꾸는 것이 좋으며, 영양소 중에 '칼슘'과 '인'이 많이 들어있는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간식은 아예 주지 않는 것이 좋지만 꼭 먹여야 한다면 칼슘함량이 없거나, 적은 것을 골라야 합니다. 그리고 강아지들이 좋아하는 고구마에 인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주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기성 제품보다 수분이 많은 야채를 간식으로 주는 것이 좋고, 사료를 줄 때도 수분이 많은 야채와 섞어서 주거나 물을 섞어 주어 음수량을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