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강아지 산책 주의사항
겨울은 기온이 떨어지고 눈이 내려 강아지들이 외출을 하기에 좋은 날씨는 아닙니다. 특히 어리거나 나이가 많은 강아지들은 겨울에 장시간 외출을 하게 되면 건강에 이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미국의 한 수의과 대학의 자료에 따르면 소형견의 경우 섭씨 4도 이하부터 외부활동 시 위험성이 생길 수 있으며, 영하 6도 이하부터는 생명에 위협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아예 밖에 안 나갈 수는 없으니 외출 준비 시 다른 계절보다 신경 써서 준비해서 나가야 합니다.
발바닥 관리
겨울에는 눈이 오는 날이 많고, 길이 얼어 미끄러운 빙판길도 있습니다. 강아지의 발바닥은 굉장히 민감한 부분이므로 차가운 느낌이 바로 전달될 수 있고 동상의 위험이 있으니 얼음이 쌓였거나 빙판길은 피해서 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에는 길가에 내린 눈을 빨리 제거하기 위해 제설용 염화칼슘이나 부동액등의 화학제품들을 뿌려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화학제품은 강아지들에게 독처럼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냄새를 맡거나 먹지 않도록 해야 하며, 산책 후 집에 와서 발에 묻은 것을 핥을 수도 있으니 발도 깨끗하게 닦아주어야 합니다. 가능하다면 신발을 신는 것이 좋으므로, 신발 신고 걷는 것을 훈련시키도록 합니다.
체온관리
강아지의 정상체온은 약 37.5~39.5도입니다. 겨울에는 체온이 떨어지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추운 날씨에 외출을 하고 돌아오면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체온관리에 신경 써주시고, 콧물이 흐르거나 코가 차갑진 않은지 체크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너무 긴 시간 동안 산책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겨울철에는 실내 온도 역시 떨어지게 되므로 강아지의 체온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방석이나 담요를 비치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강아지에게 옷을 입힘으로써 그들의 체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털이 많은 견종이나 대형견들도 추위를 느낄 수 있다고 하니 강추위에는 옷을 입혀야 합니다. 강아지마다 추위를 느끼는 정도는 다르지만 대형견보다 소형견이, 이중모 견종보다 단일모 견종이 추위를 더 잘 탄다고 합니다. 따라서 소형견과 단일모 견종은 겨울에 옷이 필수입니다. 또한 옷은 겨울철 자외선과 눈, 비로 인해 강아지의 피부가 상하는 것을 방지해 줍니다. 하지만 옷을 입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강아지들은 불편감을 느끼거나 스트레스를 받기도 합니다. 그리고 춥지 않은데 옷을 입히면 강아지의 체온을 필요이상으로 올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옷을 입히는 것의 여부는 강아지의 상태와 날씨를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결론
밖에서 생활하는 능력이 특화된 들개의 경우에도 극한의 추위에는 생명을 위협받습니다. 따라서 집에서 생활하는 반려견들은 반드시 추운 날씨에 외출할 때는 체온관리에 신경 써야 합니다. 만약 반려견이 옷 입는 것에 대해 심한 거부감을 보인다면 훈련을 통해 옷 입는 것에 익숙해지게 해야 합니다. 처음엔 입히기 쉬운 단추가 달린 조끼로 시작하여 익숙해지면 티셔츠 형태의 옷을 입히면 됩니다. 옷을 입힐 때에는 강아지의 앞다리가 어떻게 접히는지 숙지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사람과 다리가 접히는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잘못 힘을 줄 경우 다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